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모바일용 메뉴

홈 습지이야기람사르협약

람사르협약

람사르협약이란?

람사르협약의 로고

람사르협약은 자연자원과 서식지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관한 최초의 국제협약으로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협약의 정식명칭은 "물새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the convention on wetland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으로 1971년 2월 2일 이란의 람사르(Ramsar)에서 채택되었고 물새 서식 습지대를 국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1975년 12월에 발효되었다.

전세계 람사르협약에 지정된 습지는 총 2,242곳이며 총면적은2,545,904 ㎢ 이다.

1997년 7월 28일 우리나라는 101번째로 이 협약에 가입을 했고, 현재 람사르협약에 지정된 습지는 우포늪 외 24곳(202.672㎢)이 있다. 

람사르협약의 배경

람사르 총회모습

습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산적인 생명부양의 생태계이며 습지의 보호는 생물학적, 수리학적, 그리고 경제적 이유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지구상의 많은 지역에서는 개관과 매립, 오염 등으로 습지가 훼손되고 있다. 그래서 습지 파괴와 점진적 침식과 손실을 막기 위해 1960년 국제 수금류 조사국(IWRB) 주최로 되어 일련의 국제회의와 실무자회의가 개최되었고, 1971년 2월 2일 이란의 람사르에서 개최된 국제회의에서 UNESCO 주도하에 협약 본문에 대한 최종 합의가 도출되었고, 협약 문안에 대하여 18개국 대표가 서명함으로써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람사르등록습지 기준

  • 람사르협약에서 채택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기준
그룹 A기준
대표적이고 희귀하거나 독특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습지
기준1 적절한 생물 지리학적인 지역 단위에서 대표적이거나, 희귀하고, 독특한 자연적 혹은 거의 자연적 습지의 예가 될 수 있는 습지
그룹 B기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 생물종 및 생태적 군집에 근거를 둔 기준
기준2 민감한 종, 멸종위기종, 혹은 심각하게 서식처가 위협당하고 있는 종 혹은 생태군집이 서식하고 있는 습지
기준3 어떤 특정 생물 지리지역에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동·식물 군집을 유지하고 있는 습지
기준4 동ㆍ식물 종의 군집이 생활사의 중요한 부분 (기간) 을 보내거나 환경이 좋지 않을 때 피난처로 활용되는 중요한 습지
물새에 의한 기준
기준5 20,000 마리 혹은 그 이상의 물새가 정기적으로 서식하는 습지
기준6 어떤 특정 물새의 종 혹은 아종 개체 수가 전 세계 개체 수의 1% 이상이 정기적으로 서식하는 습지
물고기에 의한 기준
기준7 고유어종 혹은 해당과에 속하는 어류가 상당히 서식하거나, 습지의 가치를 잘 대변해 주는 어류 군집이 서식하는 습지로 지구 전체의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습지
기준8 해당 습지가 어류의 먹이원의 원천, 산란장, 어린 물고기가 성장하는 곳 및 회유하는 어류군이 이동하는 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습지
다른 분류군에 의한 기준
기준9 조류를 제외한 습지에 의존하는 하나의 종 또는 아종의 개체군이 전세계 개체군의 1%가 정기적으로 유지되는 습지

람사르협약 가입의 기대점

기후변화협약생물다양성협약
  • 람사르 협약은 생물다양성 협약, 멸종동식물 협약(CITES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계적 규모의 환경협약이기 때문에 협약에 가입할 경우에 환경외교에 있어 나라의 대외 이미지를 높이고, 국내 습지 생태계의 효율적인 보전 및 활용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 또한 장차 예상되는 중국, 일본 등 주변국들과의 철새보호협정 체결 및 동북아 철새 보호협약 공동 추진을 위한 기본여건을 마련할 수 있다.

당사국 총회

198020082018
  • 람사르협약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를 의결하는 회의로 협약에 가입한 나라들이 협약의 이행 정도를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매3년마다 개최한다. 1980년 이탈리아 칼리아리에서 제1차 당사국 총회 (COP1) 가 진행된 이후, 제10차 당사국 총회(대한민국 경상남도, 2008)를 우리나라에서 개최하였고, 현재까지 습지의 현명한 이용과 생태적 특성 유지를 목적으로 일관성 있게 진행하고 있다.